공천위는 이날 박근혜 비대위원장으로부터 임명장을 받은 뒤 상견례를 겸한 첫 회의를 갖고 공천심사 로드맵 등 공천 전반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실세 용퇴론'과 더불어 현역이 최대 50%까지 탈락할 수 있다는 얘기가 나돌면서 소속 의원들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심지어 공천위원들에게 ‘저자세’까지 보이고 있다.
권영세 사무총장이 방송에 출연해 “하위 25% 탈락에 전략지역과 용퇴자까지 고려하면 어느 지역이든 절반 가까이 탈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서울의 한 친이계 의원도 "공심위원들의 의지와 상관없이 공천안을 그대로 적용하면 물갈이 폭이 절반이 훨씬 넘을 것으로 본다" 며 50% 물갈이 가능성을 전망했다.
반면 서울 강남권이 지역구인 한 의원은 “미리 다 비워놓고 나서 인재를 찾는 것은 맞지 않다”며 “자칫 특정 지역은 무조건 한 번만 하는 지역이라는 인식이 박히면 오히려 안좋다”라고 말했다.
또 친이(친이명박)계 한 의원도 “준비없는 물갈이를 했을 때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도 공천하지 못하고 결국 나중에 가서 다시 공천해야 하는 경우도 나올 수 있다는 점이 걱정된다”고 공감했다.
한편 비상대책위의 '지역구 20% 전략공천', '현역의원 하위 25% 공천배제' 기준이 공천심사 과정에서 어떤 방식으로 실현될지도 관심사다.
이는 비대위가 공천개혁을 제시했지만 정작 구체적 실행 방식은 공천위 몫으로 돌렸기 때문.
여당의 텃밭인 '강남3구'나 영남권 의원들이 본인의 지역구가 전략공천지로 선택될지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운 모습이다.
부산지역의 한 의원은 “몇 개 지역을 거점지역으로 선정해 전략공천한다면 경남권까지 영향을 줄 수 있는 '낙동강벨트’가 해당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