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형 안팔린다고?”..4년 연속 거래량 늘었다

  • 지난해 10% 거래 증가..급매물 거래 속 집값은 소폭 증가 그쳐

(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중대형 주택이 실수요자의 갈아타기 수요 증가로 거래량도 늘고 있다.

중대형 집값이 많이 떨어졌고, 신규 아파트도 중소형보다 분양가가 더 저렴한 물량도 많았기 때문이다. 다만 급매나 저렴한 주택 위주로 거래되다보니 아직까지 집값이 오르지는 않고 있다.

실제로 중대형 아파트인 전용면적 86~135㎡의 거래량은 4년 연속 중가했다. 국토해양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거래된 전국 아파트 가운데 전용 86~135㎡는 16만1605가구로 전년도 14만 6918가구에 비해 10% 증가했다. 아파트 거래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한 2010년에도 중소형은 -8.77% 줄었지만, 중대형은 이보다 적은 비율인 -5.95% 감소했다.

2009년의 경우 중대형 아파트 거래량은 15만 6206가구로 전년도 11만 6565가구에 비해 34.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소형은 4.78% 증가에 그쳤다.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던 2007년에도 중대형은 11.48% 줄어든데 비해 중소형은 27.45%로 두 배 이상 감소했다.

이는 중대형 실수요가 꾸준하다는 방증이다. 자녀들이 성장함에 따라 같은 가격이라면 큰 집으로 이사를 가려는 갈아타기 수요가 여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재고주택뿐 아니라 신규주택 시장도 마찬가지다. 대체로 미분양은 중대형 주택에서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중대형 분양가를 중소형보다 낮게 책정하기도 하고, 혜택도 많다. 지난해 3.3㎡당 평균 1400만원대 분양가로 공급된 삼성물산의 ‘래미안 전농 크레시티’는 중소형보다 중대형 아파트의 3.3㎡당 분양가를 100만원 가량 낮게 책정, 중대형까지 순위 내 마감에 성공했다.

중대형 아파트가 외면받자 할인분양, 중도금 무이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단지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최근 중대형 건축이 중소형 증가세에 비해 크게 감소하고 있는 만큼 3~4년 후 중대형 주택 가치가 다시 높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