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사율이 높은 간경화증을 약물로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김상건 서울대학교 교수팀이 마이크로RNA(생체 조절물질)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면 만성 간 질환의 초기증세인 간섬유화에서 간경화로 악화될 때 발생하는 간세포 손상을 촉진하고, 간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수용체(FXR)가 활성화되면 간 손상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5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간경화 환자에게서 간세포의 손상이 진행될수록 특정 마이크로RNA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변화가 간섬유화와 간경화에서 세포 손상을 촉진하는 중요한 원리임을 밝혀냈다.
마이크로RNA는 항산화능과 항암작용에 관여하는 단백질(LKB1)을 억제한다는 것도 확인했다.
간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단백질(핵수용체, FXR)을 활성화하면 마이크로RNA의 양을 줄여 간 손상을 막을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간경화의 악화를 억제하는 핵수용체와 마이크로RNA 타깃을 제시하여, 여러 가지 원인으로 손상을 입은 간을 치료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연 획기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김 교수는 “간섬유화와 간경화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신기술일 뿐만 아니라, 실제 의약품 개발에 응용될 수 있어 앞으로 만성 간질환 치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사업(ERC)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구결과는 소화기 연구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가스트로엔테롤로지(Gastroenterology)’지 1월 18일자 온라인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