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통계청의 의뢰로 서울대 산학협력단이 분석한 ‘2010 농림어업총조사 자료 활용성 제고를 위한 심층분석 연구’를 보면 농산물 판매금액이 연간 3000만원 이상인 농가는 2000년 9만300가구에서 2010년 15만2100가구로 68.4%나 늘었다.
특히 2억원 이상 초고소득 농가는 같은 기간 1800가구에서 8700가구로 5배 가까이 급증했다.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을 판매한 가구도 5900가구에서 1만7400가구로 10년 사이 196.6%나 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농산물 판매가 전혀 없었던 농가는 2000년 9만600가구에서 2010년 12만5100가구로 38.0%로 증가했다. 지난 10년간 판매 농가가 자급농으로 전환하거나 도시민들이 소규모 농지를 보유하며 겸업으로 농사를 짓는 사례가 많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반면 농산물을 판 가구 중 판매액이 3000만원 미만인 저소득 농가는 10년 새 25.1% 감소했다. 영농형태별로 축산농가가 1억원 이상 고소득 비율이 13.0%로 가장 높았다. 화훼(7.1%)와 특용작물(4.5%), 채소(2.8%) 농가 역시 고소득 농가가 적지 않았다.
대다수 농가가 종사는 논벼는 1억원 이상 고소득 비율이 0.5%에 불과했고, 식량작물 역시 0.5%로 미미했다. 농가주가 70세 이상 고령인 농가는 37만1500가구로 전체 농가의 31.6%를 차지하지만, 소득 수준은 열악했다.
특히 70세 이상 농가주의 80.9%가 농산물을 전혀 판매하지 않거나 판매액이 1000만원 미만이었다. 판매액이 5000만원 이상인 고령 농가는 1.7%에 불과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