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비대위원장은 이날 지역 언론과 가진 오찬간담회에서 이번 공천에서 강화된 도덕성 기준을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경쟁력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경쟁력이라는 것은 국민이 후보를 지지할 마음이 있느냐이다”라며 “낙하산 식으로 ‘이 사람 저리가라’식으로 하면 그쪽 주민은 그것을 싫어한다. 말이 안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비대위원장은 이어 이명박 정부 인사의 총선 출마에 대해 “공천위가 추구하는 최고의 공천 테마는 철저히 국민의 뜻과 눈높이에 따르는 공천을 한다는 것”이라며 “국민이 바라는 공천이 돼야 한다. 국민이 거부하거나 ‘그것은 아니다’ 하는 공천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통합당이 주장하는 ‘정권교체 후 한미FTA(자유무역협정) 폐기’에 대해서는 “한미FTA 시작은 노무현 정부다. 당시 대통령은 말할 것도 없고 총리, 장관 등 여권 지도부가 이것은 안하면 안된다고 굉장히 강조했다”며 “국민을 설득시키기 위해 그렇게 하고 다시 정권을 잡으면 폐기하겠다는 얘기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미FTA를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김종훈 전 통상교섭본부장의 영입 문제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분을 영입하느냐는 제가 말할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는 “당이 어렵다 보니 모든 게 생각대로 되지 않는다”며 쇄신의 어려움을 털어놓으면서도 “국민이 하나되는 대한민국이라는 공동체 복원과 더불어 잘 사는 대한민국이 돼야 한다는 게 지향하는 가치이다. 로고 옆에도 ‘국민이 하나되는 세상’이 붙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선거구 획정 문제와 관련해서는 “정개특위 문제는 제가 관여할 수는 없으나 원칙에 맞게 한다”면서도 “세종시는 확실히 분구 될 것으로 알고 있다. 세종시 국회의원은 이번에 뽑게될 게 거의 확실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