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찌감치 관심을 표명한 제주항공과 대명그룹에 이어 중견그룹인 i그룹, e그룹, c그룹 등도 사업성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내 저가항공사 1호인 티웨이항공의 공개매각 및 입찰 마감일이 23일로 정해지면서 항공업계는 물론 일반 제조·유통업체 등도 티웨이항공의 인수의사를 타진하고 있다.
현재 티웨이항공의 공매가격은 최고 400억원 등 다양한 가치평가가 나오고 있으나 예금보험공사의 ‘최저 매각가’ 선정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티웨이항공의 자본금은 207억원이나 부채 및 차입금이 적지 않아 실제 인수가격의 최저 제한선이 얼마로 책정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
현재 티웨이항공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기업은‘제주항공’이며 무엇보다‘티웨이항공’ 인수를 통해 노선 확장과 항공기 수 증편 그리고 전문 인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입장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공개매각 방침에 따라 인수 참여와 함께 사업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무엇보다 티웨이항공의 가치가 얼마냐에 따라 참여 여부 등도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티웨이항공의 시장가치는 자본 잠식 등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며 “다만 기업가치가 높은 것으로 진단되면 300억원 이상의 가격을 써도 인수를 추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언론을 통해 공개적인 인수 의사를 밝혔던 대명코퍼레이션 측은 “내부적으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검토를 하고 있다”며 “사태 추이를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티웨이항공 인수에 비공개적으로 나섰던 기업들 역시 또다시 인수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타당성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국내 중견그룹인 i그룹과 e그룹 등도 인수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두 그룹은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다.
이번 티웨이항공의 공개매각이 본격화되면서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역시 티웨이항공의 매각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다.
경쟁력 있는 기업이 티웨이항공을 인수할 경우 양대 항공사의 영업과 마케팅 그리고 시장 장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티웨이항공 함철호 사장은 이날“공매 절차는 주주 및 이해 관계자들과 긴밀히 협의해 진행하고 있으며, 티웨이항공이 더욱 발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함 사장은 또 “공매 과정은 정상적인 항공 운항이나 승객 수송 및 영업활동에는 아무런 차질이 없는 절차라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