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부는 이날 한·우크라이나 수교 20주년을 맞아 내 놓은 우크라이나 경제의 중요성과 협력방향 이라는 주제의 보고서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세계적인 기초과학 기술과 우리나라의 상용화 능력을 결합하면 양국이 윈윈할 수 있는 협력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우크라이나는 동유럽과 러시아를 잇는 요충지이자 세계 1, 2위의 철광석, 마그네슘 매장량을 자랑하는 자원 부국이지만, 우리 정부가 우선 주목하고 있는 것은 농업부분이다.
재정부는 우크라이나가 농업강국이지만 카길 등 글로벌 곡물회사의 투자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어 투자 다변화 차원에서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의 선진 영농기술과 식품가공능력을 바탕으로 농업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재정부는 또 우크라이나는 세계 10개국의 위성 200개 이상을 제작한 우주과학기술을 한국의 뛰어난 정보기술(IT)과 교환·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가 키예프 메트로 현대화 사업과 신재생 에너지 비중 확대를 추진 중인 만큼 전동차를 합작으로 만들거나 신재생 에너지 생산설비 건설을 위한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와 우크라이나와의 교역규모는 수교 첫해인 1992년 1200만달러에서 지난해에는 17억달러로 늘었다. 우리는 주로 자동차, 가전제품, 이동전화를 수출하고 철강류, 사료 등을 수입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