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의 표명 김효재 검찰 소환 임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2-10 22:2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내주초 소환 유력…박희태 의장도 곧 소환 불가피

(아주경제 이덕형 기자) 청와대 정무수석이 10일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김 수석의 검찰 소환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전날 사퇴한 박희태 국회의장을 포함해 한나라당 돈봉투 살포 의혹의 중심에 있는 2명이 모두 자리를 내놓으면서 검찰의 운신 폭은 넓어졌고 수사도 한층 탄력이 예상된다.

검찰로서는 김 수석이 청와대 정무수석이란 모자를 내려놓음에 따라 대통령의 현직 참모를 검찰청사로 직접 불러들이는 데
대한 부담을 상당 부분 덜게 됐다.

김 수석의 사의 표명 시기는 예상을 벗어났다. 해외 순방 중인 이 대통령이 귀국하는 11일 이후 사의를 표명할 것이란 예상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이례적으로 대통령 부재중에 김 수석이 사의를 표명하자 검찰이 이미 ‘액션’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부산저축은행 로비스트 박태규씨로부터 돈을 받은 혐의로 구속기소된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도 작년 9월 검찰로부터 소환 통보를 받은 직후 사의를 표명한 바 있다.

하지만 검찰 관계자는 “아직 소환을 통보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검찰은 “김 수석의 소환과 관련해 아직 정해진 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물론 김 수석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그에게 불리한 관련자 진술과 증언이 쏟아지면서 의혹이 눈덩이처럼 커져 검찰 소환이 사실상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현재로서는 김 수석의 검찰 소환 시기로 다음 주초가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 검찰은 김 수석이 사의를 표명하면서 “모든 정치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언급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권과 여당에 누를 끼친 정치적인 책임만을 언급해 법적인 책임은 없는 듯한 뉘앙스를 풍겼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은 김 수석이 이번 사건에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수석이 돈 봉투 살포와 관련됐다는 적잖은 정황 증거를 확보한데다 각종 계좌추적 결과와 관련자 진술 등이 김 수석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우선 고승덕 의원은 박희태 후보 캠프로부터 받은 300만원을 돌려줬을 때 김 수석이 전화해 “왜 돌려주는 것이냐”고 물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다.

박 의장 전 비서 고명진(40)씨 역시 검찰 조사에서 “고 의원실로부터 돈 봉투를 되돌려받은 사실을 김 수석에게 보고하자 ‘그것을 돌려받으면 어떡하느냐’고 화를 내더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병용(54.구속기소) 한나라당 서울 은평갑 당협위원장이 당협 간부들에게 뿌리라고 지시하며 구의원들에게 전달한 현금 2천만원을 가져온 장소가 여의도 캠프의 당시 상황실장이던 김 수석 책상이었다는 구의원의 현장 진술도 나왔다.

여기다 김 수석의 전 보좌관이 직접 돈 봉투 심부름을 했다는 증언까지 나온 상태다.

검찰은 이같이 김 수석이 돈 봉투 살포에 깊숙이 관여한 정황과 진술이 있는 만큼 그에 대한 사법처리도 크게 어렵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은 김 수석 소환 다음 타깃으로 박희태 의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물론 김 수석에 대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박 의장에 대한 소환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지만 박 의장이 의장직을 벗어던진 만큼 부담은 덜한 편이다.

박 의장이 전대 직전 라미드그룹으로부터 받은 소송 수임료가 애초 알려졌던 1억원이 아닌 2억원으로 드러난데다 캠프의 금고지기 역할을 한 조정만(51.1급) 국회의장 정책수석비서관이 수표로 받은 수임료 일부를 전대 직전 현금화했고, 나머지도 용처가 불분명해 박 의장에 대한 조사 필요성이 명확해졌다는 게 검찰 판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