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형 건설업체 모임인 한국건설경영협회가 31개 회원사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대형 건설사의 국내 수주는 74조9759억원으로 전년 대비 4.0% 줄어든 반면 해외수주는 45조8978억원으로 1.7% 증가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공공 부문(-2.3%)보다 민간 부문(-4.8%)의 하락세가 더 컸다.
정부가 여러 차례 부동산 규제를 완화하는 등 부동산 경기 살리기에 나섰지만 저축은행 구조조정과 건설사 신용위험평가 등의 영향으로 주택 수주액이 2010년보다 8.1% 급락했기 때문이다.
해외 시장은 리비아 등 중동 지역 민주화 혁명과 유럽 재정위기라는 악재가 쏟아졌지만 4년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다만 지난해 국내 건설사 전체의 해외 수주 총액은 전년 대비 17.4% 감소해, 해외 수주의 대형 건설사 쏠림 현상은 더욱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1개 대형 건설사들의 작년 매출총액은 87조8035억원으로 2010년 83조3932억원보다 5.3% 증가했다. 이 중 국내 공사 매출은 4.0% 줄어든 반면 해외 공사 매출은 39.6% 늘어났다.
이들 대형사는 올해 해외 수주 목표를 작년보다 65% 성장으로, 해외 매출 목표를 42.6% 성장으로 각각 잡았다. 그동안 플랜트 공사에 편중된 해외 사업을 다각화하고자 토목 공사의 수주를 전년 대비 254.3% 늘릴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