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 20조 1266억 원… 3.6% 감소

(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초·중·고교 학생의 연간 사교육비 규모가 20조 1266억원으로 조사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7일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는 한편 ‘2012 사교육비 경감대책’을 발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사교육비 총 규모는 20조1266억원으로 전년 20조8718억원에 비해 7452억원(3.6%) 감소했다.

국가 차원의 사교육비 조사는 2007년부터 실시돼 왔으며, 증감율은 2008년 4.3%, 2009년 3.4%, 2010년 -3.5%, 2011년 -3.6%로 2009년을 정점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4만원으로 전년과 변동이 없어 사교육비 감소 총액(7452억원)의 대부분은 학생 수 감소에 따른 자연 감소분이라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다만 물가지수를 감안한 실질 기준으로는 사교육비 총 규모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모두 전년대비 각각 7.2%, 3.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급별로 보면 초등학교는 24만5000원에서 24만1000원 줄었지만 중학교는 25만5000원에서 26만2000원으로 오히려 늘었다. 고등학교는 21만8000원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시·도별로는 서울(32만8000원), 경기(26만9000원), 대구(24만4000원)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전국 평균(24만원)을 상회했고 전북(15만5000원), 전남(16만7000원), 충북(17만4000원) 등 나머지 13개 지역은 평균보다 낮았다.

사교육비를 가장 많이 쓰는 지역은 서울(32만8000원), 가장 적게 쓰는 지역은 전북(15만5000원)으로 격차가 2배 넘게 났다. 제주(6.5%), 서울(2.2%), 경북(1.6%), 광주(1.4%), 충남(0.6%) 등 5개 시·도는 전년보다 증가했고 전북(-5.5%), 인천(-2.7%) 등 10개 시·도는 감소했다.

과목별로는 국어(2만1000원→1만9000원)와 사회·과학(1만4000원→1만3000원)은 전년대비 감소했지만 영어(8만원→8만1000원)와 수학(6만8000원→7만원)은 오히려 증가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전년 대비 1.9%포인트 줄어든 71.7%로 2007년 이래 감소세를 지속했다. 사교육 수요 흡수를 위해 학교에서 운영하는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56.6%로 전년대비 1.0%포인트 증가했다.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사교육비를 연간 약 47만원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