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조사는 14시간가량 진행돼 자정 무렵 완료됐으며, 이후 박 의장은 변호인과 함께 검찰이 작성한 진술조서를 검토했다.
검찰은 박 의장을 상대로 2008년 7·3 전대 직전 캠프 차원에서 돈 봉투 살포 지시가 있었는지와 이를 알고도 묵인했는지 등을 집중 추궁했다.
박 의장은 그러나 돈 봉투 관행만 알고 있었을 뿐 실제 살포 과정에는 개입한 사실이 없다며 관련 혐의를 완강하게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박 의장에게 고승덕 의원실에 300만원이 든 돈 봉투가 돌리라고 지시한 적이 있는지, 사후에라도 이를 보고받았는지 캐물었다.
검찰은 또 안병용(54.구속기소) 새누리당 서울 은평갑 당협위원장이 당협 간부들에게 뿌릴 목적으로 구의원들에게 현금 2000만원을 건넨 사실에 대해서도 개입 여부를 추궁했다.
이에 박 의장은 ‘이번 사건이 불거지기 전까지는 돈 봉투가 전달된 사실을 몰랐다. (해외순방에서) 귀국한 뒤 관계자들 얘기를 듣고서야 알았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어 박 의장이 전대 이전 라미드그룹으로부터 박은 억대 변호사 수임료를 어디에 썼는지, 자신 명의로 1억5000만원대 마이너스 통장을 만들어 캠프에 전달한 사실이 있는지 등 자금조달 경위를 조사했다.
이에 대해 박 의장은 “18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뒤 수임료를 지역구 사무소 직원들의 퇴직 위로금과 활동비 명목으로 사용한 것으로 안다”면서 전대 캠프에서 사용된 돈이 있는지는 알지 못한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장은 캠프 회계를 실무진에 일임해 어떤 형태로 지출이 이뤄졌는지 모른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박 의장이 말하고 싶은 부분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말했다”고 전했다.
한편, 검찰이 현직 국회의장을 조사한 것은 지난 1997년 한보사건 당시 대검 중수부 수사팀이 공관에서 김수한 국회의장을 방문조사한 데 이어 이번이 사상 두 번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