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MSNBC 뉴스 보도를 보면 미국 에머리 대학의 프란스 드 발 교수는 최근 열린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회의에서 원숭이와 침팬지 연구에서 불평등으로 나타나는 갈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드 발 교수는 “사회내 불평등의 역할이 매우 과소평가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말하자면 불평등은 건강에 해롭다”고 단언했다.
드 발 교수는 지난 해 월가(街)를 강타한 반(反)불평등 시위와 같은 맥락의 움직임을 원숭이와 침팬지 실험에서 발견했다고 말하며 “평등 의식은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카푸친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한 원숭이에게는 계속 맛있는 포도를 주고 다른 원숭이에게는 계속 무덤덤한 오이를 주면서 반응을 관찰했다. 혼자있을 때는 오이를 잘 먹던 원숭이는 다른 원숭이가 계속 포도를 먹는 것을 목격한 뒤 관찰자에게 오이를 던지고 화를 내는 등 격한 반응을 했다. 드 발 교수는 이를 “원숭이판 월가 시위”라고 지적했다.
교수는 불평등이 오이를 받은 원숭이에게만 긴장과 스트레스를 가져오는게 아니라 포도만 받아 먹은 원숭이도 상대의 분노를 견뎌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고 말했다.
드 발 교수는 어떤 영장류는 이런 상황을 파악하기도 한다고 했다. 예컨대 동료가 포도를 얻지 못하면 자기도 포도를 거부하는 행동을 보였다는 것이다. 물론 모든 영장류가 이렇게 행동하지는 않았다.
드 발 교수는 공평성에 대한 감각과 도덕적 평등을 둘러싼 분노, 화해와 협력의 능력 등은 인간만이 가지는 게 아니라는 점이 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