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1년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의 대외투자 잔액은 7420억달러로 전년말 6940억달러보다 480억달러 증가했다.
이는 해외직접투자, 대출금(기타투자) 및 준비자산 등이 크게 늘어난 데 주로 기인했다.
특히 매매 등의 거래요인에 의해 638억달러 증가한 반면, 주요투자대상국의 주가하락 등의 비거래요인에 의해 158억달러 감소했다.
2011년말 현재 외국인투자 잔액은 외국인의 국내채권투자, 예금취급기관의 차입금 등이 늘어나 8392억달러로 전년말대비 78억달러 증가했다.
이중 거래요인에 의해 327억달러 증가한 반면 국내주가하락 등 비거래요인에 의해 249억달러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순국제투자 잔액(대외투자-외국인투자)은 –971억달러로 전년말(-1373억달러)에 비해 마이너스(-) 규모가 402억달러 축소됐다.
한편 지난해 말 우리나라의 대외채권 잔액은 4964억달러로 전년말대비 454억달러 증가했다.
이는 통화당국의 준비자산 증가, 예금취급기관의 대출금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장기대외채권(+104억달러)보다 단기대외채권(+350억달러)이 더 크게 증가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대외채무 잔액은 3984억달러로 전년말대비 390억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는 단기외채(-36억달러)는 예금취급기관의 단기차입금 상환 등으로 감소했으며 장기외채(+426억달러)는 예금취급기관의 증권발행․장기차입 증가와 기업부문의 증권발행 등으로 증가했다.
또한 단기외채비율(단기외채/준비자산)은 44.4%로 전년말대비 3.5%p 하락했다. 단기외채비중(단기외채/총대외채무)도 34.2%로 전년말대비 4.7%p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통화당국(-51억달러)을 제외한 일반정부(+91억달러), 예금취급기관(+210억달러), 기타부문(+139억달러) 모두 증가했다.
특히 총외채 대비 예금취급기관의 외채비중은 48.7%로 전년말 대비 0.5%p증가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순대외채권 잔액(대외채권-대외채무)은 980억달러로 전년말대비 64억달러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