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 장관은 이날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계산서가 오가고 이해득실을 따지는 것은 온당치 않다. 정부는 북측의 응답을 기다릴 것"이라며 이산가족 상봉 실무접촉 제안에 북측이 호응해 오길 재차 촉구했다.
최근 정부는 대한적십자사 명의로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논의를 제안했지만 북측이 통지문을 수령하지 않아 당국간 실무접촉이 무산된 상태며 고구려 고분군 산림 병충해 방제를 위한 실무접촉 제안도 북측은 받아 들이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류 장관은 “비정치적이고 북한이 비교적 받기에 편안한 제안들을 했는데도 호응해 오지 않아 나도 궁금하다”면서 “아무래도 내부 사정이 아직 여의치 않은 부분이 있는게 아니냐. 그렇게밖에 이해할 도리가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여건과 상황을 고려해 이산가족 상봉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북한이 반응을 안해 딱한 국면"이라며 "북한을 위해서 딱하고 남북관계 발전을 바라는 심정에서 딱하다"고 토로했다.
특히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나오게 하기 위해 금강산 관광재개를 지렛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시각은 온당치 않다”면서 “남북관계에 있어서 금강산 관광 문제를 다른 사안과 연결시켜 해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류 장관은 “금강산 관광재개 문제는 국민의 생명이 걸린 문제이기 때문에 이것을 수단으로 활용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며 "다른 사업을 해나갈수 있는 일이 아닌 국민의 안전과 생명이 보장되는 일을 해야지 다른 대가로 하는 것은 아니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화에 나와서 금강산 문제든 현안 문제든 의논을 하자"고 덧붙였다.
‘북한을 대화 테이블에 나오게 하기 위한 묘안이 있냐’는 질문에는 “남북관계를 풀어나가는 데 묘수를 생각한다든지 특별한 조치를 구상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깜짝쇼를 통해선 남북간의 신뢰가 쌓일 수 없고 향후 대화 의지를 북측에 충분히 전달할 뿐, 이외 파격적인 조치들을 별도로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고 답했다
류 장관은 ‘통일항아리’와 관련한 남북협력기금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진척을 보지 못하고 있는데 대해 정치권에 강한 유감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통일항아리(통일재원) 초벌구이를 잘 빚었고 국민이 관심을 보였는데 정치권에서 제대로 구워주지 않고 방치 해놔서 상당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통일항아리는 통일미래 준비의 핵심적인 사업이고 초당적으로 추진해야 할 국가적 과제인데 정치권이 선거나 정당정치에 몰입해서 주요한 과제를 옆으로 미뤄놓고 있는 것은 마땅한 일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중국내 탈북자 문제에 대해서는 “중국의 태도가 일관되게 중국의 국내법 또는 국제법, 인도주의 원칙, 한국의 입장을 고려해 원만히 처리하겠다는 입장을 갖고 있다”면서 "보편적 가치의 토대위에서 양국 정부간에 원만히 협의해서 처리돼야 할 사안”이라고 설명했다.
류 장관은 “최근 방중했을 때 중국측에 탈북자 문제에 대해 전향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고 중국 정부에서도 수용하는 답을 했다”고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