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경우 중국 쑤저우와 광저우, 하얼빈에 지점을 운영중이며 지난달 중순 중국 정부로부터 베이징 지점 추가 설립 예비 인가를 받았다.
또한 국민은행은 새로 설립할 베이징 지점을 포함해 중국 내 지점 4곳을 현지법인으로 전환하는 한편 일본 오사카 지점과 인도 뭄바이 사무소 등 아시아 지역 지점과 사무소 신설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기업은행의 경우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며 지난해 초부터 현지에 주재원을 파견해 시장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조준희 행장이 이르면 4월말께 직접 인도네시아로 날아가 현장 방문할 예정이다.
우리은행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 2곳에서 M&A를 진행하고 있고,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도 현지 은행을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신한은행은 일본, 중국, 인도,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 아시아 각국으로의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 금융사들이 중국이나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지역에 각별히 공을 들이는 이유는 현지 진출에 성공한 우리 기업이 많을 뿐만 아니라 유럽 재정위기 이후 동남아 국가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은행의 자금조달 비용이 동남아 현지 은행보다 낮다는 점, 정치ㆍ사회ㆍ문화적인 면에서 우리나라와 비슷한 면이 많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에 대해 한 금융권 관계자는 "까다로운 유럽, 미주 시장 보다 아시아권이 정보 획득이나 영업에 유리한 면이 많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