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덕형 기자)티웨이항공의 입찰 마감을 앞두고 기업들이 손익 계산에 분주한 가운데 관심을 보였던 기업들이 입찰 포기 의사를 속속 밝히고 있다.
23일 티웨이항공의 공개 입찰 마감 시한을 앞두고 대명코퍼레이션과 자회사 대명엔터프라이즈는 이번 입찰에 참여를 하지 않겠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대명 관계자는“신수종 사업이 필요하지만 지금 성급하게 항공 사업에 신규 투자를 해야 할 만큼 매력적인 사업이 아니다” 며 “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현재 사업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일부 언론에 거론 되던 보광그룹 역시 티웨이항공 인수 참여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항공 사업의 경우 기존 사업에 시너지 효과를 내는 데 있어서 실속이 없다는 입장이다.
보광그룹 관계자는“ 신규 사업을 하기에는 여건이 좋지 않다”며“ 사업성 검토를 하지 않겠다 ”고 밝혔다.
반면, 인수에 유력한 후보군 이었던 제주항공과 애경그룹의 경우 아직까지 티웨이항공의 인수 참여 여부에 따른 공식 입장을 밝히고 있지 않다.
제주항공의 경우 티웨이항공 인수에 따른 손익 계산이 분주해 막판까지 속내를 들어 내지 않을것으로 관련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유가 인상과 세계 경기의 침체 그리고 티웨이항공의 잠재적인 부실 부채 등이 인수에 적지않는 부담으로 작용할것으로 보인다.
또한 470여억원에 달하는 예상 입찰 가격 역시 티웨이항공의 생존에 걸림돌로 작용 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수 기업들의 참여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이다.
실제 인수에 참여를 검토 했던 B기업 관계자는 " 항공사 설립 비용이 150억에 달하는 가운데 400억 이상 주고 인수한다면
이는 3배의 가치가 있는지 타져 봐야한다"며 인수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이에 따라 티웨이항공 매각이 원활 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관련업계는 물론 티웨이항공에 적지 않는 파장이 미칠 것으로 보인다.
주인 없이 표류하고 있는 티웨이항공의 경우 자칫 심각한 재정난과 함께 인력난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티웨이항공의 조종사와 정비사 등 전문 인력들이 관련 항공업계로 부터 잇따른 러브콜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오는 3월부터 항공업계의 경우 비수기에 접어들고 있어 티웨이항공의 경우 공매가 되지 못하고 표류 할 경우 브랜드 인지도 하락과 매출 감소 그리고 조종사 이탈이 가속화 되면 운항 중단이라는 돌발 변수에 휘말릴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항공업계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유가 인상에 경기침체의 여파로 항공사들이 무더기 도산하고 있는 마당에 지금 티웨이항공의 공개 매각은 바람직 하지 않다”며“ 기업 매각의 시점이 적절치 못한 부분이 있어 아쉽다“고 밝혔다.
관계자는 또 “ 인도의 킹 에어와 호주의 에어 오스트레이리아 등이 파산을 하는 등 올해 상반기 10여개의 항공사가 파산했다”며 “지금 티웨이가 매물로 나온 것 자체가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