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수영 기자) 서울지역 부동산시장에 '반(反) 박원순'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서민중심 주택정책에 투자자들을 포함한 중산층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어서다.
22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오는 28일, 29일 서울광장에서는 박원순식 주택정책에 반발하는 2개의 집회가 각각 열린다. 한남뉴타운(재정비촉진지구) 1~4구역 주민들은 28일 서울광장에서 '뉴타운 출구전략 반대'를 위한 시위를 열기로 하고 최근 집회신고를 마쳤다. 다음날인 29일에는 개포동 개포지구 8개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소형주택 확대를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갖는다
한남동 주민들은 이날 뉴타운 출구전략으로 모든 주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점에 주안점을 둘 계획이다.
박대성 한남재정비촉진구역 주민협의회 회장은 "지난달 말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 발표 이후 지분값은 더 떨어지고, 사려는 사람은 더 줄었다"며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빼지도 못하고, 소형주택 소유자들도 추가분담금 부담만 더 커진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의 뉴타운 출구전략은 세입자와 소수의 서민들만 고려한 대책"이라며 "투자자들 중에도 원주민이 많지만 그들을 위한 대책은 찾아볼 수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태원동을 끼고 있는 한남1구역의 20㎡ 미만 소형 지분값은 3.3㎡당 6500만원선으로 지난해 말보다 500만원 떨어졌다. 대지지분이 40㎡인 한남동 단독주택의 경우 지난해 말 6억원대에서 현재는 5억원대로 내려앉았다.
용산구 보광동 Y공인중개사 사장은 "뉴타운 출구전략 발표 이후 이태원동 일대 상가들의 반대가 더 거세면서 재개발사업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에 지분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한남동 한 공인중개사는 "사업 진행이 속도를 내고 있는 구역도 현금청산 대상인 소형주택은 보상비가 얼마 안 돼 지분값이 급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타운 출구전략 반발 움직임은 서울시의 강남 재건축 소형주택 확대에 반대하는 움직임과 합쳐져 '반 박시장 연합전선'을 형성하는 양상이다. 이 같은 기류가 확산될 경우 서울시 주택정책이 장기 표류하면서 주택공급에도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한남뉴타운에 이어 다음날인 29일에는 개포지구 주민들 1만여명이 서울광장 집회를 계획하고 있어 서울시가 바짝 긴장하는 분위기다. 이들은 서울시가 강남권 재건축사업 추진 때 소형주택 비율을 기존 소형주택의 절반 정도 지으라고 한 데 대해 '사유재산권 침해'라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더구나 서울시가 조례를 통해 법적 규제화할 계획이어서 다른 강남권 재건축단지로 확산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개포지구 8개 재건축단지들은 전용면적 60㎡ 이하가 95%에 이르고 있어 타격이 유독 심하다. 좁고 낡은 아파트에 살면서 재건축만 기다리던 주민들은 서울시가 사유재산을 일방적으로 제재한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더구나 개포동 일대는 60㎡ 이하 새 아파트 전셋값이 3억~4억원에 이르고 있는 상황이다.
개포지구 재건축추진위연합회 관계자는 "서울시가 소형주택을 늘리려는 것은 세입자들을 위해서라고 하는데, 현재 1억원 이하 전세에 살고 있는 개포지구 임차인들이 재건축 이후 재입주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의 서민 우선 주택정책에 대한 반발 움직임은 4월 총선을 앞두고 뜨거운 감자로 부상할 전망이다. 서울시 주택정책에 반대하거나 찬성하는 양쪽 진영이 4월 총선을 미끼로 정부와 서울시, 정치권을 압박하며 목소리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