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통 창호지 문 구조를 응용한 새로운 개념의 이 태양전지는 금속 격자, 세라믹 종이, 나노 섬유 등을 사용해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데다 종이처럼 마음대로 구부릴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종이형 태양전지는 실리콘ㆍ유리기판 등으로 만든 기존 태양전지의 유연성 한계를 극복해 건물의 창문이나 의류 등에 자유롭게 탈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자동차, 건축, 방위산업 등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에너지ㆍ환경분야의 저명 학술지인‘ 에너지 앤 인바이런먼털 사이언스(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의 이슈 논문에 선정됐다.
차승일 박사는 “종이형 태양전지는 침체된 태양광산업의 한계를 극복,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수 있는 기술" 이라며 "빠른 시일 내에 기술을 기업에 이전, 양산화에 성공하면 종이형 태양전지를 기존 태양전지의 절반 이하인 와트당 0.5달러에 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