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생체신호 읽는 초소형 전기침 개발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유회준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사진)와 송기석 박사과정 학생 연구팀이 크기는 동전만큼 작으면서도 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초소형 스마트 전기침’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번에 개발한 전기침은 한의원에서 기존에 사용중인 침보다는 훨씬 작고 가벼우면서도 뛰어난 성능을 갖고 있으며, 가격은 100분의 1 수준이다.

직물 위에 회로를 직접 인쇄하는 직물형 인쇄회로 기판(Planar Fashionable Circuit Board, P-FCB) 기술을 이용해 500원짜리 동전만한 크기의 패치를 제작, 복잡하게 연결돼 있던 선을 없었다.

지능형IC가 내장돼 있어 치료 중 생체 신호를 감지해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근전도 및 체온 등 다중 생체 신호도를 감지해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으며, 치료 효과도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유회준 교수는 “이번 기술은 생체 피드백이 가능해 그동안 비과학적이라고 여겨졌던 전기침 치료의 과학화에 한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