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이와관련 오는 12일부터 30일까지 시·군, 경찰청, 교통안전공단, 버스조합 등과 합동으로 전세버스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전세버스 안전관리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대상은 도내 총 467개 업체, 1만1885대 전세버스이며, 차량 및 운전자 관리 분야를 비롯한 6개 분야 29개 항목을 점검한다.
특히, 중대사고 발생 및 사고다발 업체의 안전관리에 대해서는 중점 점검을 실시한다.
도는 이번 점검에서 즉시 시정이 가능한 사항은 현장에서 시정조치하고, 차량의 위험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점검명령을 통해 시정한 뒤 자동차 검사를 받고 운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또, 교통사고 발생 운전자는 특별운전 적성검사 등 안전교육을 받은 뒤 운전을 하도록 하고, 전반적인 안전관리가 미흡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교통안전공단 등 전문기관에 특별 교통안전진단을 받도록 진단명령을 할 계획이다.
아울러, 본격적인 봄 나들이와 수학여행이 시작되는 4월과 5월에는 경찰관서와 합동으로 행락지, 휴게소, 수학여행지를 중심으로 현장 지도·점검에 나선다.
경기도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대형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 점검과 운수 종사자 안전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라며 “도민들께서도 차내 음주가무 등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행위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