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기·김치냉장고 에너지효율 1등급 10%대로 축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08 15:3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진오 기자) 전력 소비가 많은 냉난방설비와 전력저장장치(ESS) 등이 에너지 효율관리 대상으로 지정됐다. 또 가전제품과 조명기기의 에너지 효율기준은 현행보다 강화된다.

지식경제부는 8일 이 같은 내용의 에너지 효율 향상 4대 중점과제를 발표했다. 우선 지경부는 냉난방 에너지 수요관리를 위해 다음달부터 시스템에어컨(EHP)을 기존 고효율인증 대상에서 효율등급표시 대상으로 전환했다. 또 유통매장 전력사용량의 25%를 차지하는 냉장진열대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용 서버·스토리지 등은 효율등급표시 대상으로 지정돼 에너지 효율을 엄격하게 관리받게 된다.

김치냉장고, 전기세탁기, 식기세척기, 전기밥솥 등 주요 가전제품의 효율 1등급 비율도 현행 30∼60% 수준에서 10%대로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전체 전력손실의 3% 내외를 차지하는 송배전 전력손실 저감을 위해 변압기의 최저소비효율 기준도 상향 조정하고 오는 2014년부터는 저효율 백열전구 판매를 중단했다.

또한 현재 1W인 대기전력저감 기준을 2015년까지 0.5W로 강화하고 빌트인 가전제품과 셋톱박스는 소비효율 2등급 이상이나 대기전력저감 우수제품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밖에 고효율제품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478억원을 투입해 공공기관 LED 교체, 전통시장 조명 및 소상공인 광고간판 교체도 지원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이 같은 에너지 효율 향상 대책을 통해 올해 120만kW의 전력피크를 억제하고, 2015년에는 100만kW급 원전 2~3기에 해당하는 230만kW의 전력피크 억제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