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전략지역 12곳 안팎 타결 가닥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4ㆍ11 총선에서 전략지역 12곳을 전후해 연대키로 가닥을 잡아가는 중이다. 경선지역의 경우 양당은 영남권을 제외하고 수도권 중심으로 30여곳을 놓고 막판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다.
 
 양당 실무협상 대표인 민주당 박선숙 의원과 통합진보당 이의엽 공동정책위의장은 8일 오후 협상을 시작해 이 같은 내용으로 마지막 쟁점을 조율 중이다.
 
 민주통합당 한명숙 대표와 통합진보당 이정희 공동대표는 실무 협상이 끝난 뒤 협상을 최종 타결지을 대표 회담을 위해 대기 중이다.
 
 양당은 이 공동대표가 출마한 서울 관악을과 같은 당 오병윤 전 사무총장이 출마한 광주 서을 등 호남권 일부 지역의 전략지역 설정 문제를 놓고 막판 기싸움을 전개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노원병(노회찬)·경기 성남 중원(윤원석) 의정부을(홍희덕) 파주을이 전략지역으로 유력하다. 경기 고양 덕양갑에 출마한 통합진보당 심상정 공동대표가 경선 수용 의사도 내비쳤지만, 단일 후보로 결론이 내려졌다.
 
 서울 은평을에 출마한 통합진보당 천호선 대변인은 단일 후보로 가닥이 잡혔으나, 이날 오후 민주당 후보와 경선을 벌이겠다고 선언했다.
 
 영남권에서는 부산 영도(민병렬) 해운대기장갑(고창권), 울산 동구(이은주) 남구을(김진석) 등 4곳이 통합진보당 후보로 단일화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진보당은 충청권에서 홍성ㆍ예산(김영호)을 단일화 지역으로 얻어냈고, 대전 대덕 등도 협상 테이블에 올려져 팽팽한 기싸움이 펼쳐지고 있다.
 
 경선룰의 경우에도 민주당은 여론조사에서 경쟁력을 묻자는 입장인 반면, 통합진보당은 적합도를 내세워 타협을 이루지 못했지만, 협상 타결에 별다른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와 함께 양당은 19대 국회에서의 공동 정책으로 최대 쟁점인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경우 ‘폐기를 포함한 전면재검토’, 재협상, 폐기 등의 문구를 놓고 최종 조율중이다.
 
 또 △4대강 사업 국정조사 △권력형 비리사건 국정조사 및 특검 △건강보험 보장성 확대 △비정규직 사용제한 강화 및 동일노동 동일임금 △재벌중심의 독과점체제 개혁 등을 추진키로 합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