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이 9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
정부는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9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전국 16개 시·도에 물가관리 전담조직을 신설키로 하고, 행정안전부가 이와 관련 지침을 마련하기로 했다.
정부는 우선 현재 경기도에만 있는 물가전담 부서를 16개 시·도에 모두 설치하고, 매월 자치단체별 물가안정 실적을 점검한 후 우수 지자체에는 중앙정부 부처의 공모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특별교부금도 더 지원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회의에서 박재완 장관은 “4월 총선 전후로 나타날 수 있는 개인서비스 요금의 편법 인상 등 물가 불안요인에 대해 철저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어 “외식물가는 500원, 1000원처럼 계단식으로 올라 가격 설정방식이 물가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며 “삼겹살처럼 수급이 안정돼도 가격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물가 안정에 협조하는 ‘착한가게’에 더 많은 혜택을 줄 수 있는 방안도 찾기로 했다. 현재는 착한가게로 인증되면, 대출시 금리 우대나 소상공인 정착금 지원, 보증수수료 감면 등의 혜택을 준다.
이밖에도 정부는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주요 수입품목의 가격을 비교해 물가를 인하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농축산물 가격 안정을 위해 이달 말부터 농축산물 직거래 장터도 23개 더 운영하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