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홍콩 CSL과 LTE망 연동

이성영 SK텔레콤 제휴사업본부장(사진 오른쪽)과 폴 홋지(Paul Hodges) CSL의 수석부사장이 9일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LTE 자동로밍 서비스 조기 상용화에 협력키로 하는 양해각서(MOU)를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SK텔레콤은 홍콩 최대 이동통신사인 CSL과 세계 최초 LTE망 연동에 성공해 한국·홍콩 간 LTE 자동로밍 서비스 제공 준비가 마루리됐다고 11일 밝혔다.

양사는 지난 9일 SK텔레콤 을지로 본사에서 이성영 제휴사업본부장과 폴 홋지(Paul Hodges) CSL 수석부사장(Executive Vice President)이 참석한 가운데 LTE 자동로밍 서비스 조기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본격 서비스 준비에 나섰다.

LTE 자동로밍 서비스는 상용 국가가 많지 않고 국가 간 주파수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데다 상이한 대역의 주파수를 수용할 수 있는 단말기도 출시되지 않아 기존 로밍 서비스 대비 빠른 상용화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왔다.

SK텔레콤과 CSL은 지난해 11월부터 4개월간의 준비 끝에 LTE로밍망 연동에 세계 최초로 성공함에 따라, 올해 상이한 복수의 주파수를 수용할 수 있는 LTE 단말기가 출시되면 한국과 홍콩에서 LTE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양사는 LTE 망을 연동함에 있어 보안성과 확장성이 강화된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 연동 모델 IP교환(IPX)을 적용했다.

이는 3G 데이터 로밍망 대비 발전된 보안기술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능력을 갖춘 All-IP네트워크 연동 모델로 기존 음성중심 로밍 대비 상대적으로 보안이 중요시되고, 부가적 서비스 이용이 많은 데이터 중심 LTE로밍의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양사는 LTE로밍서비스에 필수적인 가입자 위치등록 시스템(HLR), 데이터 처리 시스템(PGW, SGW) 등을 연결했다.

SK텔레콤은 해외 가입자 위치관리, 과금 관리 등을 수행하는 LTE로밍가입자관리시스템도 최초 개발했다.

양사는 이번 망 연동 사례가 향후 전 세계 이동통신 사업자들이 LTE로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성영 SK텔레콤 제휴사업본부장은 “LTE 로밍이 상용화되면 해외에서도 3G 대비 5배 빠른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돼 고객 편의성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면서 “홍콩 CSL을 시작으로 해외 각국 이통사와 제휴하여 LTE 자동로밍 서비스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