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경제부는 작년 국산차의 EU 지역 수출 물량은 42만6057대로 전년 대비 42.8%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국산차의 EU 지역 수출은 현지 생산 확대와 금융위기 여파 등으로 2005년부터 6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나 작년에는 자유무역협정(FTA)과 현지 마케팅 강화 등에 힘입어 큰 폭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특히 7월부터 한-EU FTA가 발효되고 3월 대지진으로 일본차가 EU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면서 5월부터 EU 수출이 월평균 83.7%씩 증가했다.
또 실용성을 중시하는 유럽 소비자 성향에 맞게 연비가 높은 소형차와 미니밴(CDV) 등 전략적 차종을 집중 투입한 결과 소형차 수출은 152.8%, CDV 수출은 467.9% 각각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독일로의 수출이 104.9%, 이탈리아로의 수출이 84.5%의 높은 증가율을 각각 기록했고 프랑스로 수출도 35.8% 늘었다.
EU 승용차 시장은 2008년 7.8%, 2009년 1.5%, 2010년 5.0%, 2011년 1.4% 각각 감소하는 등 2008년 금융위기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지난달 우리나라 자동차 생산 및 내수판매,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업체별로는 현대(17만6904대)와 기아(15만1808대)는 조업일수 증가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각각 64.8%, 37.3% 증가했으며, 한국지엠(6만5203대)과 쌍용(9172대)은 내수 및 수출호조세를 바탕으로 25.5%, 18.1% 늘어났다.
반면 르노삼성(1만7951대)은 신형 SM7의 내수 신차효과가 부진하면서 5.5%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