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을 비롯한 국내 주요 생보사들은 오는 7월부터 보험료를 평균 5~10% 올릴 전망이다.
보종 및 특약별로는 질병 5%, 장기 1~2%, 실손의료비 및 암보장 특약 20~40% 인상이 유력하다.
이번 보험료 인상에는 4.00%에서 3.75%로 0.25%포인트 낮아지는 표준이율이 큰 영향을 미쳤다. 금융감독원은 저금리 기조에 따라 오는 4월 1일부터 보험사의 자산운용 예상수익률인 표준이율을 낮춘다.
개별 보험사의 예정이율 책정에 영향을 미치는 표준이율이 하락하면 5% 안팎의 보험료 인상 요인이 발생한다. 손보사들 역시 이 같은 표준이율 하락을 반영해 보험료를 3~4% 가량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손보업계 1위인 삼성화재 관계자는 “보험료에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인상률은 회사마다 조금씩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생보사들의 경우 경험생명표 수정, 참조위험률 조정 등 각종 수치 및 요율 변동까지 겹쳐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수명 연장 추세를 반영해 사망 기한을 110세 이상으로 늘리는 새 경험생명표는 보험료 인상을 부추겼다. 경험생명표 수정은 연금보험 월별 수령액 감소나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사망과 질병, 입원 등의 발생 확률을 나타내는 기준위험률도 다음달 조정을 앞두고 있어 질병보험료 인상이 가시화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보험료 인상이 기정사실화되면서 보험설계사들의 지나친 절판마케팅을 우려하고 있다.
일부 보험설계사들은 이미 연금, 질병보험은 4월 이전, 종신보험은 4월 이후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며 조기 가입을 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새로운 회계연도(FY)가 시작되는 4월부터는 더 비싼 보험료를 내야한다며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다.
그러나 보험개발원 요율검증과 금감원 상품심사 기간을 고려할 때 보험료 인상은 7월에나 가능하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6월까지 보험료 인상률을 지켜보면서 가입해도 늦지 않다”며 “단, 연금보험을 포함한 저축성보험은 4월부터 초기 해약환급금이 많아진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금융당국은 가입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과도한 보험료 인상을 억제하고 나섰다.
금감원은 최근 보험사 사장단을 불러 저금리 기조와 역마진 대비하라고 경고함으로써 보험료 인상폭을 줄이라고 주문했다.
표준이율을 근거로 보험료 인상률을 부풀리려는 일부 보험사의 꼼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료를 제대로 정했는지 따지는 것은 감독당국의 의무”라며 “연금, 저축보험의 공시이율을 마구 올려 역마진을 자초하고 이를 보험료 인상 구실로 삼을 경우 엄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