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지난 2009년 개발에 성공한 인체통신기술이 지난달 29일 미국전기전자학회(IEEE) 기술표준위원회에서 국제표준에 채택됐다고 13일 밝혔다.
인체통신기술이란 사람의 몸을 전선과 같은 매개물질로 활용해 별도의 전력 소비 없이 인체에 통하는 전류를 이용하는 기술로 사람의 팔, 다리 등 신체를 이용해 사진, 동영상, 음악파일 등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번에 공표된 표준은 인체주변 영역에서의 전자기기나 바이오센서간의 통신을 위한 표준(IEEE 802.15.6)으로 무선주파수를 사용하는 초광대역(UWB), 협대역(NB) 기술과 인체 매질을 이용하는 인체통신기술을 활용한다.
이중 ETRI가 세계 최초로 개발해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있는 주파수 선택형 디지털 전송 방식이 이번에 국제표준에 채택됐다.
주파수 선택형 디지털 전송은 무선통신(RF) 회로나 주파수 변조 과정 없이 디지털 신호만을 이용해 채널특성이 우수한 주파수 대역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기존 통신방식에 비해 전력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우수한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새 기술이다.
엄낙웅 ETRI 시스템반도체연구부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체영역 네트워크 통신기술 및 이를 이용한 헬스케어 등의 응용서비스 연구가 활발하다”면서 “핵심기술인 인체통신기술의 국제표준 채택으로 이러한 연구 및 상용화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