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칭서 권토중래 노렸던 보시라이의 꿈, 결국 물거품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2-03-15 17:2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베이징=조용성 특파원) 15일 충칭(重慶)시 서기에서 전격적으로 해임된 보시라이(薄熙來)는 2006년만 하더라도 차기 총리 물망에 오르던 잘나가는 '정치스타'였다. 그는 2007년 제17대 전국대표대회에서 상무위원 진입을 노렸지만 시진핑(習近平), 리커창(李克强)에 밀려 고배를 마셨다. 이후 충칭시에서 권토중래를 노렸지만 왕리쥔(王立軍)사건의 여파로 결국 꿈이 좌절되고 말았다.

보시라이는 중국의 혁명원로인 보이보(薄一波) 전 부총리의 아들로 태자당이다. 그의 정치적 명성은 다롄(大連)시를 성공적으로 이끌면서 높아지기 시작한다. 그는 1988년부터 2000년까지 13년간 다롄에서 일했으며 마지막 직책은 다롄시 서기였다. 그는 다롄에 무수한 외자를 끌어들여 선진 공업도시로 변모시키는 한편 환경개선사업을 대대적으로 벌여 다롄을 중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중 하나로 만들었다. 공무원들에게 엄하게 대해 관료사회에서는 미움을 사기도 했지만 인민들은 그의 열정에 환호했다. 다롄 시민들은 그에게 축구, 의복과 함께 '다롄삼보(三寶, 다롄의 세가지 보배)'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붙여줬다.

다롄에서의 실적을 토대로 그는 2000년 랴오닝(遙寧)성 성장으로 취임했다. 매사 자신감에 넘쳤고 직선적인 성격의 보시라이는 당시 랴오닝성 서기와 잦은 마찰을 빚는다. 그리고 그는 2004년 국무원 상무부장으로 베이징에 돌아온다. 상무부장으로 세계 전역을 누비며 중국의 무역정책을 옹호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영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데다 훤칠한 키에 호남형 외모로 보시라이가 나타나면 외신기자들이 구름처럼 몰렸다. 서방세계 언론들은 상무부장 보시라이에 대해 "보시라이는 국제무대에서 활발하고 정력적이며 개방적인 태도를 견지해 중국의 폐쇄적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는 평을 내놓았다.

2006년부터 보시라이는 차기 총리 후보로 거명되기 시작한다. 차세대 지도부는 '리커창 총서기 - 보시라이 총리' 를 중심으로 꾸려질 것이라는 예측기사도 심심챦게 나왔다. 하지만 그의 직선적이면서 주관이 뚜렷한 성격은 공산당의 집단지도체제에 맞지 않는다는 평이 나오면서 총리의 꿈은 좌절을 맞게 된다. 2007년 17대 전국대표대회는 그를 정치국위원에 올리기는 했지만 충칭시 서기라는 다소 '초라한' 직책을 부여했다.

보시라이는 한동안 좌절했지만 2012년 18대 전국대표대회에서 상무위원 진입을 목표로 권토중래를 시도했다. 그리고 2009년 '조폭과의 전쟁'을 벌이며 충칭시에 활동중이던 거대 조폭조직들을 일망타진한다. 이를 계기로 그는 다시금 뉴스의 중심에 섰다. 중국 전역의 인민들은 보시라이에 환호했고 공산당 내부에서도 호평이 이어졌다. 이에 더해 그는 중국공산당의 업적을 찬양하는 홍색켐페인을 벌였다. 이 행보는 공산당 원로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정치적 제스춰로 해석됐고, 그의 상무위원 진입에 대한 강한 집념의 단면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그가 조폭과의 전쟁을 위해 특별히 영입했던 왕리쥔과의 사이가 틀어지면서 왕리쥔이 미국으로 망명을 기도한 사건이 벌어졌고,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사건이 확대되자 결국 그는 충칭시 서기직에서 물러날 수 밖에 없었다. 이로써 그의 상무위원 진입이라는 일생의 꿈은 물거품이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