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최근 유통·제조분야 화주기업과 물류기업 471개사를 대상으로 ‘공동물류에 대한 인식과 애로점’을 조사한 결과 19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공동물류가 필요하다’고 답한 기업이 50.6%로 절반을 넘었다. ‘공동물류’란 노동력, 수송수단, 보관설비, 정보시스템이나 도로 등 물류활동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을 복수의 파트너가 공유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의 ‘카풀’과 유사한 개념이다.
업종별로는 물류기업(71.0%)이 제조(45.7%)·유통(36.1%) 화주기업보다 물류공동화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중소운송기업들은 업종 특성상 물류원가의 평균 40~50% 이상을 연료비에 지출하는데 최근 유가상승과 과당경쟁으로 인한 단가하락으로 경영압박을 크게 받고 있다”면서 “이를 타개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공동물류의 필요성을 더 많이 느끼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 공동물류의 가장 큰 효과로 ‘물류비 절감’(63.0%)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이어 ‘업무효율 향상’(23.0%), ‘서비스수준 향상’(7.0%), ‘기업 브랜드 노출을 통한 홍보효과’(3.0%)를 차례로 답했다.
공동물류 효과를 톡톡히 볼 수 있는 사업분야로는 ‘수·배송’(43.7%), ‘보관(물류센터 등 시설)’(41.7%), ‘유통가공(포장)’(10.3%), ‘공동회수’(4.3%) 등을 꼽았다.
공동물류 추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적절한 비용·수익 배분의 어려움’(45.7%)을 지적했으며, ‘공동화시설 등에 대한 투자부담’(34.7%), ‘파트너 찾기 어려움’(30.7%), ‘제품규격, 정보시스템 등 표준화’(29.3%), ‘거래정보 유출 가능성’(27.0%) 등이 뒤를 이었다.
공동물류를 시행중인 기업들의 사업형태를 분석한 결과, 화주 주도의 공동수·배송, 보관 등 단순공동물류 수행이 72.0%로 가장 많았고, 물류기업 주도로 물류기업 간 화물정보·차량정보를 공유하는 경우가 16.0%, 화주·물류기업 공동 주도로 공동물류센터에 공동 투자·경영하는 사례가 12.0%로 나타났다. 시행업체의 물류비 절감효과는 평균 13.0%로 집계됐다.
공동물류사업의 확산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지원으로는 ‘공동물류시설 자금지원’(61.3%), ‘세금감면, 규제완화 등 인센티브’(46.0%), ‘시범사업화 및 매뉴얼 보급’(42.0%), ‘공동물류 추진기업 알선’(20.3%), ‘공동물류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및 교육’(20.2%)을 차례로 들었다(복수응답).
대한상의 김경종 유통물류진흥원장은 “녹색경영 패러다임과 고유가 시대를 맞아 공동물류의 보급·확산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과제”라면서 “특히 중소물류기업 간 공동물류는 개별기업의 영세성으로부터 초래되는 문제에 대한 해결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