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NHK 방송 보도를 보면 내각부 조사 결과 2010년 봄에 대학과 전문대를 졸업한 56만9000명 가운데 19만9000명이 취업 후 직장을 그만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취업을 하지 못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은 14만명 수준이었다. 대학과 전문대를 중퇴한 사람은 6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대학과 전문대 출신 52%는 조기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미취업 상태라는 것이다.
고교 출신은 상황이 더 심각하다. 졸업자 18만6000명 가운데 이미 직장을 그만둔 사람은 7만5000명이다. 실업자이거나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은 10만7000명이었다. 중퇴자는 5만7000명이다. 고교 출신자 68%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는 일본 고교와 대졸자의 취업 내정률이 80∼90%에 이르지만 실제 취업 전선에서 느끼는 온도차는 상당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후생노동성과 문부과학성이 2010년 봄 당시 고교와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취업 내정률은 대졸자가 91.8%, 전문대 졸업자가 87.4%, 고졸자가 93.9%였다.
희망적인 소식도 들린다. 일본 경제가 완만한 경제 회복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일본 재계가 내년 신입사원 채용을 늘릴 계획이다. 니혼게이자이신문 조사를 보면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합한 업계 전체는 내년 봄 대졸자 채용을 12.1% 늘릴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