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봉 연구원은 "우선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국채 금리의 상승과 엔화의 약세"라며 "두 가지 지표 모두 글로벌 유동성의 위험 선호도와 관련이 깊다"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글로벌 경기와 관련해서는 이연 수요(또는 잠재 수요, pent-up demand)에 대한 기대를 해 볼만한 시점이 됐다"며 "최근 미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자동차 판매와 주택 지표들의 호전은 향후 이러한 잠재수요가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고 판단했다.
이어 또 한 가지 주목해야 할 부분으로 주도주의 부각을 손꼽았다.
그는 "단기적으로 모멘텀이 없는 흐름이지만, 무시하기 어려운 강세장의 징후들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긍정적인 시각은 계속해서 유지한다"며 "1분기 실적 전망치가 낮아졌다는점이 부담이기는 하지만 역설적으로 실적에 대한 눈높이가 낮아진 만큼 쇼크 수준으로 발표되지 않는다면 실적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