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혁신도시 조성 본격화… 올해 2만3000여가구 분양 돌입

  • 연내 3만5000여가구 착공 및 기반시설 완공 예정

(아주경제 이명철 기자) 전국 10개 혁신도시가 올해 들어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 공공기관 직원들의 주거여건 마련을 위해 아파트 분양과 착공이 이어질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이달말 울산우정혁신도시를 시작으로 올해 혁신도시에서 아파트 31개 단지 총 2만3214가구를 분양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혁신도시는 지방으로 이전하는 147개 공공기관 중 113개 기관 수용을 위해 부산, 대구, 울산, 원주, 전주·완주, 나주, 김천, 진주, 진천·음성, 서귀포 등 10개 지역에 조성하는 사업이다. 나머지 34개 기관은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와 개별도시로 옮긴다.

올해 공급물량은 지난해 8개단지 4305가구보다 5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의 주거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국토부는 내다봤다.

지역별로는 나주혁신도시가 5208가구로 가장 많고 이어 울산(3652가구)·부산(2304가구)원주(2216가구)·전주완주(2207가구)·김천(2131가구)·음성진천(1988가구)·진주(1779가구)·대구(1279가구)·서귀포혁신도시(450가구) 등 순이었다. 부산·대구·원주·김천·서귀포(5월), 나주·진천음성·진주 등 8개 지역은 첫 분양이 실시된다.

전체 분양물량 중 전용면적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가 총 1만9825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하며 토지도 조성원가로 공급돼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책정될 것으로 보인다. 특별공급 후 나머지 물량은 지역거주자를 우선으로 일반공급을 실시한다.

국토부는 혁신도시 아파트 분양이 이어지면서 이전기관 직원들의 청약 기회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하는 ‘지방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등에 관한 주택특별공급 운영기준’을 일부 개정해 오는 22일 시행할 계획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우선 특별공급 비율 하한이 50% 이상에서 70% 이상으로 상향 조정된다. 단 지역별로 여건에 따라 국토부장관과 협의해 70% 미만으로 공급도 가능하도록 했다.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이 대부분 수도권에 거주하는 점을 감안해 특별공급은 인터넷 청약접수로 진행하고 신청 접수기간도 2일 이상으로 진행한다. 이전공공기관 종사자의 판단기준은 ‘이전부서 근무자’에서 ‘이전하는 업무 담당자’로 구체화한다.

국토부는 또 아파트 착공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이전공공기관 직원들의 초기 보금자리 마련에 힘쓸 예정이다.

올해 혁신도시 아파트 착공 물량은 총 3만5000여가구로, 이중 상반기까지 2만8000가구(80%) 착공을 완료할 계획이다. 지난해에는 1만5000가구가 착공에 들어갔다.

혁신도시 입주는 2010년 7월 첫 착공에 들어간 부산과 지난해 3월 첫삽을 뜬 울산에서 내년 6월부터 시작되며, 이후 순차적으로 입주가 실시된다.

국토부에 따르면 2월말 현재 10개 혁신도시 부지조성 공사는 82.2%, 진입도로는 73.2%, 상수도 83.6%의 공정률을 기록 중으로, 연내 기반시설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아파트 입주시기에 맞춰 초교 11개, 중교 8개, 고교 6개 등 총 25개의 학교시설도 우선 설치한다.

한편 10개 혁신도시 아파트 공급계획 8만7000가구 중 76%인 6만6000가구는 이미 용지 매각이 완료됐고, 4만6000가구(53%)는 주택건설 인허가를 마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