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분 동네 프로젝트' 개념도 |
서울시는 생활 밀착형 복지시설을 특정지역에 쏠림 없이 체계적으로 공급하는 '10분 동네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이는 박원순 시장의 공약이었던 '10분 동네 프로젝트'를 구체화·현실화한 것으로, 각종 공공 편의시설을 소외 지역까지 도보권 이내에서 골고루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올해 시설별로 적정 규모와 이용거리 등 표준화된 설치기준을 가이드라인 형태로 마련한다. 25개 자치구의 각종 복지시설 현황과 이용실태를 분석하고 관련 부서의 장기 계획 조사를 실시해 공급이 필요한 시설을 지역별로 제시할 예정이다.
이 중 올해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을 대상으로 시설이 열악한 자치구를 각각 1개구씩 선정해 시범 공급계획을 수립하고, 내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25개 전 자치구에 필요한 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다.
시는 필요한 공공 편의시설의 원활한 확보를 위해 이용률이 낮거나 사용하지 않는 공공·민간시설과 자투리 국공유지 등을 조사해 활용 방안을 마련한다. 또 재개발·재건축 등의 민간개발 시행 시 공공시설 기부채납을 그 지역에 필요한 공공 편의시설로 제공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한제현 서울시 도시계획과장은 "지역 간 사회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해 각종 공공시설을 지역별로 쏠리거나 부족함이 없이 효율적으로 공급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