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선 LG경제연구소 연구원은 25일 ‘한국 맞벌이 가사노동 시간이 부족하다’는 보고서를 통해 “맞벌이 가구 소득은 외벌이 가구보다 15%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맞벌이 가구와 외벌이 가구의 소득 차는 106만원이지만, 부족한 가사노동시간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소득 차는 36만원에 그친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분석은 맞벌이 가구의 부족한 가사노동 시간 때문에 발생하는 유무의 지출을 근거로 한다.
우선 맞벌이 가구는 식사준비를 할 시간이 없어 외식하거나 아이를 돌볼 사람이 없어 육아도우미를 고용하는 가시적인 비용이 든다. 여기에 집 청소가 안 된 지저분한 상태로 내버려둔다든지, 빨래를 자주 하지 못한다든지, 어린이를 혼자 두는 것도 일종의 비용이라는 것이다.
이는 한국의 맞벌이 여성들이 장시간 근로 탓에 가사노동의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맞벌이 여성은 퇴근 후 육아, 가사 등에 하루 평균 3.7시간만 할애한다. 일본의 4.8시간, 미국의 4.5시간에 비해 한참 부족한 수준이다.
보고서는 이런 현실 때문에 맞벌이 가구가 외벌이 가구에 비해 70만원의 효용을 손해본다고 분석했다. 이를 고려하면 맞벌이와 외벌이의 소득 격차는 겨우 15%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미국(4.5시간) 맞벌이 여성은 비교적 많은 시간을 집안일에 할애한다. 같은 방법을 적용하면 미국은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50%나 더 버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원은 “정부의 보육비 지원 정책이 한시적 도움은 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장기간 근로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시간제 근무, 유연 근로제 등 탄력적 근무방법의 도입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