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는 “우리 주유업계는 정부가 기존 주유소들의 실상이 어떠한지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이 기름값 안정대책으로 발표하고 있는 알뜰주유소 확대정책에 대해 개탄을 금치 못하고 있으며, 헌정 사상 유례없는 반시장 정책을 시행하는 정부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최근 고유가의 원인은 원유가격 상승과 기름값의 46%에 달하는 유류세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2012년 3월2주 기준 휘발유 1리터는 2026원이며, 이 가운데 세전 정유사 가격은 1035원(51%)이고 세금은 930원(46%), 유통비용은 3%인 61원에 불과하다는 게 협회측 설명이다.
협회는 “주유소 유통비용 61원 중에 신용카드가맹점수수료 리터당 30원을 빼고, 인건비와 전기료 등 판매관리비를 제하고 나면 적자운영일 수밖에 없는 주유소의 경쟁을 더욱 촉진시켜 가격을 내린다는 것이 합당한 정책인가”라며 반문하면서 “정부가 장관회의까지 하며 공공기관인 석유공사와 농협을 앞세워 주유소사업에 뛰어들게 하고, 그것도 모자라 공공용지에 주유소를 세운다는 발상은 기존 주유소들을 폭리를 취하는 부도덕한 집단으로 몰아 주유소 소탕을 위한 전쟁이라도 치르겠다는 것처럼 보인다”고 역설했다.
협회는 이어 “고유가 시대 최대 수혜자는 46%의 세금을 걷고 있는 정부”라면서 “진정한 고유가대책은 3%의 매출이익률에 불과한 주유소를 죽이기 위한 알뜰주유소 정책이 아니라, 모든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유류세 인하에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국민과 주유업계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주유소 죽이기 정책이 계속된다면 우리 주유업계는 동맹휴업을 비롯한 어떠한 단체행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