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고용부에 따르면 이 장관의 미국 공장 방문으로 장시간 근로 개선 정책의 고삐가 더욱 죌 것으로 보인다.
이 장관의 눈에 들어 온 것은 작업 시간 대비 생산성이다. 차량 한 대 만드는 데 드는 시간이 기아차 조지아 공장에서는 17.3시간, GM 랜싱은 23시간이었던 반면 국내 현대·기아차의 경우 31.3시간으로 다소 긴 편이다.
다시말해 국내 자동차회사가 미국 보다 2배 이상 시간을 쏟지만 생산성은 그보다 낮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연간 노동시간은 2111시간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시간인 1692시간보다 419시간이나 많다.
이에 이 장관은 국내 완성차업계도 ‘근로시간저축계좌제’를 활용해 단축된 근로시간이 생산성과 연동돼야 한다고 평가했다.
근로시간저축계좌제는 수요가 많은 시간에 연장근무를 축적했다가 비수기에 단축근로를 통해 연장근무를 차감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장관의 지적에 업계는 시쿤둥한 반응이다. 국내 업계의 현실을 무시한 '일방적인 해석'이라는 얘기다.
특히 노동시간이 업력에 절대적으로 작용하는 자동차업계는 이 장관의 발언이 여론몰이로 작용하지 않을까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 관계자는 “일부 노조는 특근 및 휴일 수당 등을 그대로 받으려고 한다”며 “근로자에 치우친 정책은 되레 업계의 반발을 살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이 장관의 구상이 국내 현장에 완전히 적용될 때까지는 적잖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회의론도 한 몫 한다. 지속적으로 논의는 하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로드맵은 마련되지 않아 임기 내 가능할지도 미지수라는 전망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우선 노사정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친 뒤 구체적인 로드맵을 짤 것”이라며 “그러나 근로기준법령개정안 및 파생법이 정해져 오는 가을 정기국회에 상정된다면 연내에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이 장관도 “며칠 둘러보고 와서 바로 결론을 내자는 것이 아니다”며 “국내 형편에 맞게 연착륙이 가능한 방안들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신중한 자세를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