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6~27일 서울에서 열린 핵안보 정상회의를 계기로 국토부가 해외 정부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사진은 지난 26일 심명필 4대강살리기추진본부장(오른쪽)과 모로코 에너지광물수자원환경부 장관(왼쪽)이 양국간 수자원 관리 및 4대강 사업의 기술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서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 |
정상회의 준비에 진땀을 뺐던 국토해양부는 행사를 계기로 해외진출 가시화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됐다.
53개국과 국제기구에서 58명의 정상급 인사가 참가한 핵안보정상회의는 내빈 보안과 행사장 주변 교통 혼잡에 대한 우려가 컸다. 이에 국내 도로·철도와 항공·해운 등 교통 전반을 책임지고 있는 국토부는 행사 시작 전부터 보안 및 교통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여왔다.
국토부는 지난달 1일 ‘항공부문 종합준비계획’을 수립한 데 이어, 같은달 27일부터는 국내 모든 무역항에 대한 승선점검을 강화하는 등 선박보안조치도 실시했다.
특히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서는 지난달 21일 국토부와경찰청, 서울시 등이 함께 승용차 자율 2부제 시행 등을 골자로 한 교통대책을 발표했다.
하지만 기대보다 낮은 2부제가 참여로 행사기간 동안 서울 곳곳에서 극심한 교통혼잡을 빚기도 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26일과 27일 2부제 참여율은 각각 61%, 62%로 지난 2010년 G20정상회의(64%) 때보다 저조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핵안보 정상회의에 대한 인지도와 홍보효과가 G20 당시보다 높지 않아 참여율이 높지 않았다”며 “정상들이 대거 이동하면 교통 통제가 이뤄져 결국 회의 참석자나 시민들 모두 불편을 겪은 것”이라고 말했다.
행사 준비로 고생도 많았지만 얻은 것도 적지 않았다. 핵안보 정상회의 참석차 우리나라를 찾은 해외 정상들이 국토부 추진 사업에 관심을 가지며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는 등 해외 진출폭이 넓어졌기 때문이다.
우선 지난 25일 국내 4대강 살리기 사업에 큰 관심을 보여왔던 태국의 잉락 친나왓 총리가 한강 이포보를 방문했다. 앞선 24일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4대강 사업의 수자원 관리 기술을 공유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수자원관리 기술협력 양해각서(MOU)’를 조만간 체결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4대강살리기추진본부 관계자는 “태국과는 지난해부터 4대강 사업 기술 협력에 대한 논의가 오고갔다”며 “태국 총리가 직접 4대강 현장을 찾아 효과를 확인하며 MOU 체결도 목전에 뒀다”고 전했다.
세바스띠안 삐녜라 칠레 대통령은 26일 한만희 국토부 1차관 등과 함께 시화호 조력발전소를 찾았다. 이날 한국과 칠레는 조력발전소 건설 협력에 관한 MOU를 조속히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같은날 4대강살리기추진본부는 모로코와 ‘수자원 관리 및 4대강 사업의 기술협력에 관한 MOU’를 체결했다. 모로코 에너지광물수자원환경부 장관이 핵안보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우리나라를 찾은 것이 계기였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국토부측은 이동이 쉽지 않은 해외 정상들이 우리나라를 찾으면서 국내 사업 현장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해외 정상과 돈독한 관계를 맺으면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해외 진출은 실무자 협의나 업체 개별 추진 등으로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정상회의에서 쌓은 국가적 테두리를 바탕으로 4대강 사업이나 조력발전 등 새로운 분야의 해외 진출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