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31일 민주통합당과 전국언론노조 KBS본부가 폭로한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례 2600여건 가운데 대부분인 80% 이상(2200여건)이 지난 '노무현 정부'시절 이뤄졌다고 발표했다.
또 민주당의 주장을 의도된 거짓이자 '총선용 정치 공세'로 규정했다.
이는 민간인 사찰 문제가 이번 4·11총선의 초대 쟁점으로 부상하고 청와대가 수세에 몰리는 국면이 형성된 이후 처음 나온 청와대의 공식 입장이다.
이런 입장이 나온 것에 대해 정치권은“좌파 성향 야권과 언론노조의 일방적 폭로가 진실처럼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를 더는 방치해선 안 된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특히 불법 민간인 사찰을 이 문제를 제기한 민주당 집권 시절에 더 많이 이뤄졌다는 점을 강조해 수세에 몰린 정국의 흐름을 단번에 전환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청와대는 여야의 특별검사 도입 요구와 권재진 법무 장관 사퇴 요구에 대해서도 상당히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야가 특검 도입에 합의할 경우 언제든 이를 수용해 철저한 진실 규명이 담보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또 검찰 또는 특검의 수사 결과 관련성이 드러나는 인사가 나올 경우 지위 고하에 상관없이 철저히 책임지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필요한 사안의 경우 민정수석이나 대통령에게 보고됐을 수도 있지만, 이는 모두 정상적인 업무 절차를 거친 것들"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민주당이 공개한 문건에 'BH(청와대) 하명' 등의 표현이 등장한 것에 대해서는 검찰 수사로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는 입장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