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환자 매년 6.4% 증가…‘흡연’이 주범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최근 5년간 폐암 환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흡연이 주요 원인인 폐암, 만성폐색성폐질환(COPD), 폐쇄성 혈전 혈관염에 대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폐암 환자의 경우 2006년 4만3000명에서 2010년 5만5000명으로 약 1만2000명(연평균 증가율 6.4%)이 늘었다고 4일 밝혔다.

매년 평균 4만8000명이 폐암에 따른 진료를 받았으며 이들이 5년간 지불한 진료비 총액은 1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폐암환자 5만5000명 가운데 남성은 69.4%로 여성(30.6%)보다 2.3배 많았으며, 60세 이상이 74.1%(4만명)를 차지했다.

만성폐색성폐질환(COPD)의 경우 환자 수가 매년 평균 약 63만명이며 5년간 진료비 총액은 4900억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COPD는 폐 기능을 떨어뜨리고 만성적인 기침과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혈관이 막혀 손과 발의 끝이 썩는 폐쇄성 혈전 혈관염(버거씨병)은 환자가 2006년 3400명에서 2010년 4245명으로 755명 늘어났으며 5년간 진료비 총액은 148억원이었다.

한편 2010년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남성의 흡연율은 48.1%이고 여성은 6.1%로, 2005년에 비해 남자는 4.2%p 감소한 반면 여자는 0.4%p 증가했다.

직장이나 가정 내에서의 간접흡연 경험률은 남성이 48.9%, 여성은 35.1%로 나타났다.

국내 청소년의 26.0%는 ’흡연한 경험‘이 있다.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는 비율은 12.1%로 남학생이 16.6%, 여학생은 7.1%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