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신금융협회와 롯데·삼성·신한·하나SK·현대·BC·KB국민카드 등 7개 카드사는 9일부터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요령 및 환급제도’를 주제로 공익광고를 제작, 공중파 3사를 통해 방송을 내보낸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공익광고는 최근 새로운 유형의 보이스피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수법도 날로 정교해지고 있어 보이스피싱 수법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인·서민 계층을 대상으로 카드론 보이스피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제작했다는 설명이다.
광고에는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이 전화로 계좌번호 등 금융거래정보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담겼다. 피해를 당한 경우 금융회사 콜센터나 112센터에 사기범의 통장을 신속히 지급정지 요청할 것을 당부하고 지급정지된 금액은 특별법에 따라 환급 가능하다고 전한다. 특히 내달 21일부터 보이스피싱 피해방지를 위해 300만원 이상 카드론 최초사용자에 한해 대출승인 후 2시간 지연입금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보이스피싱 판별요령, 신고방법, 환급안내 및 2시간 지연입금 안내 등 소비자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유의사항을 방송인 허수경씨의 나레이션과 재연영상 및 자막을 통해 쉽게 표현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광고는 ‘신용카드사회공헌위원회’의 첫 사업 성과다. 카드업계는 지난해 기프트카드 잔액과 소멸포인트 등을 사회에 환원하는 차원에서 매년 200억원 규모의 사회공헌기금을 조성하는데 의견을 모았다.
이에 여신금융협회와 7개 카드사는 지난해 4월 사회공헌 사업을 위해 신용카드사회공헌위원회를 발족하고 투명성과 독립성을 위해 학계 및 사회복지전문가, 가맹점단체, 소비자단체 등 3인을 위원으로 위촉했다. 하지만 구체적 사업 추진계획이 드러나지 않으면서 위원회는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