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의 독도정책과 외교 청서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남상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일본의 독도정책과 외교청서의 변화’를 주제로 센카쿠제도(釣魚島)에서의 중일 갈등, 남쿠릴열도(북방4개 섬)와 관련된 러시아의 협상 등을 통해 일본이 처한 영토 갈등 양상을 함께 분석했다.
남 의원은 "2002년 한일 월드컵 시기 등 양국 관계가 고려되야 할 시기에는 일본이 독도기술을 하지 않는 등 일본 나름대로 노력을 보여왔다"며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일본 외무성홈페이지에 독도가 일본 영토인 이유를 기재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태도를 보였다"고 말했다.
배수진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원은 "1950년대 초반 독도 이벤트 발생 건수가 처음으로 급증했다가 이후 40여년간의 소강상태를 거쳐 지난 1900년대 중반 한일간 독도 관련 이벤트가 다시 급증되면서 독도 이벤트 건수도 상승기류 추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배 연구원은 "특히 한일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개입도를 비교해 보면, 2000년대 후반에 일본의 독도 도발은 그 이전에 비해 중앙정부의 개입도가 더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재단 측은 학술회의를 통해 “최근 일본 교과서 등에서 확산되고 있는 ‘독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그릇된 주장을 비판하고 한국 정부의 독도 수호 정책을 재조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 연구위원은 저서 ‘독도이슈 60년과 한국의 영토주권: 독도이벤트 이벤트데이터(1952-2010)’를 토대로 논의를 펼 예정이다.
아시아 재단의 피터벡 대표, 세종대 호사카 유지 교수, 단국대 김학준 이사장이 참여하는 토론회도 열린다.
재단 측은 학술회의를 통해 “최근 일본 교과서 등에서 확산되고 있는 ‘독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그릇된 주장을 비판하고 한국 정부의 독도 수호 정책을 재조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2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