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는 이재현 회장을 포함해 이관훈 CJ 대표, 김철하 CJ제일제당 대표, 손관수 CJ GLS 대표 등 전 계열사 최고경영자들이 지난 3일부터 2박3일간 호찌민 시내에서 '2012 CJ글로벌 콘퍼런스'를 열었다고 8일 밝혔다.
이 회장은 이 자리에서 "CJ의 미래성장은 글로벌에 있고, 중국 이후에는 베트남"이라며 "베트남에 '제3의 CJ'를 건설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특히 "사업 성과도 중요하지만 한국의 품격과 문화를 접목시켜 베트남의 산업·문화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순히 사업적 성과를 내는데 그치지 않고 베트남 문화를 존중하며 '베트남 속에 녹아 든 CJ'를 만들겠다는 의지이다.
이 회장의 이번 선언은 한국과 베트남의 수교가 올해 20주년을 맞는 해라 더욱 의미가 깊다.
이 회장이 베트남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베트남의 잠재력 때문이다. 베트남은 연 평균 7%를 웃도는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인구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 젊은 층으로 CJ그룹의 주력사업인 방송 및 엔터테인먼트·외식·홈쇼핑 등 문화산업과 맞아떨어진다. '문화산업 글로벌화'라는 소명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갖고 있는 셈이다.
이 회장은 호찌민에서 뚜레주르 점포와 2011년에 인수한 베트남 최대극장 체인인 '메가스타'를 방문해 사업장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직원들을 격려하는 등 현장경영에도 힘을 쏟았다.
베트남 주요 인사와도 활발히 교류했다.
베트남 호찌민시의 경제와 행정을 총괄하는 레 호왕 꾸언 호찌민 인민위원장(시장), 흐어 응옥 뚜안 호찌민 인민부위원장 및 관련 국장들을 접견했다. 또한 쩐 빈 민 베트남 국영TV(VTV) 사장, 베트남 1위 케이블 사업자인 SCTV 쩐 반 우위 대표와도 오찬을 나눴다.
이에 앞서 베트남의 내각과 행정, 경제를 책임지는 응웬 떤 중 수상은 지난달 28일 서울 CJ인재원을 방문해 이 회장과 만찬을 함께 했다.
CJ그룹은 현재 베트남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다.
1996년 베트남에 처음 사무소를 개설한 뒤 2007년에는 뚜레쥬르를 앞세워 베이커리 시장에 진출하여, 현재 호찌민에서 14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11년 7월 베트남 최대 멀티플렉스 체인이자 영화 배급 1위 업체인 메가스타를 전격 인수해 베트남 사회 전반에 존재감을 높였다.
CJ오쇼핑과 합작해 설립한 SCJ홈쇼핑은 호찌민·하노이를 비롯해 하이퐁·껀터 등 베트남 5대 도시 중 4개 도시에서 24시간 방송 중이다. 또 CJ GLS는 지난해 7월 국내 물류업계 가운데 처음으로 하노이와 호찌민 등 9개 주요 도시에 배송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택배사업을 시작했다.
CJ그룹 관계자는 "이미 진행하고 있는 사업 외에도 방송 콘텐츠 공급 및 제작, 음악 공연, 영화 제작·배급 등 문화 콘텐츠사업을 앞으로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