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조절 통한 척수손상 치료 가능성 제시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강수경 교수팀이 척수손상 동물 모델에서 신규 유전자인 ‘microRNA486’의 발현 조절을 이용한 척수손상에 대한 치료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교육과학기술부가 15일 밝혔다.

척수손상은 외상으로 인한 1차 손상, 외상 후 염증 등으로 일어나는 2차 손상으로 나뉜다.

2차 손상은 주로 손상 부위에서 과도하게 생성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발생된다.

강 교수팀은 이 활성산소가 ‘GPX3’·‘SEPN1’·‘TXNL1’이라는 세 가지 유전자가 발현되면 제거되고, 이들 유전자는 ‘NeuroD6’라는 유전자에 의해 조절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microRNA486 발현이 억제되면 NeuroD6이 활성화된다는 점도 확인했다.

강 교수는 “기능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microRNA486’의 조절을 통해 손상된 척수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과 작용 메커니즘을 제시한 것은 처음”이라며 “이 같은 유전자 조절은 척수손상과 같은 난치병 치료에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계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Brain)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