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요금 코리아 인덱스 개발협의회는 지난해 우리나라 이동통신 요금을 국제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가 비교 대상 국가중 구매력평가(PPP)환율로는 3~4위, 시장환율로는 1~2위 수준으로 싼 것으로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우리나라 이용자의 요금 부담 규모는 비교 대상 10개국 평균 대비 PPP환율로는 61.9%~77.8%, 시장환율로는 41.7%~51.4% 수준이었다.
음성·SMS 요금 비교 결과 대표그룹인 3그룹(음성 220분, SMS 220건)의 경우 PPP환율 기준 3위, 시장환율 기준으로 2위로 2010년 순위와 같았다.
다른 그룹의 경우에도 PPP환율로 3~5위, 시장환율로는 비교 대상 11개 국가 중 2위로 나타나 2010년과 동일했다.
이번 결과는 음성, SMS 및 무선인터넷 사용시 미국·영국·일본 등 주요 10개국과 국내 요금 수준을 비교한 것이다.
이번에는 무선인터넷 이용을 포함한 국제 요금 비교를 실시했다.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LTE 요금 등은 일단 비교대상에서 제외하고 향후 시장상황을 봐가며 결정하기로 했다.
인터넷 이용의 개방성이 확보되지 않는 WAP 방식의 서비스는 제외, 일반 무선인터넷 서비스방식(HTTP)만을 비교했다.
이용량이 매우 적은 피처폰 이용자들의 데이터 이용량은 비교대상에서 제외하고 스마트폰 가입자의 무선인터넷 요금만을 대상으로 했다.
각국의 이동통신사가 이용자의 데이터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Fair Use Policy)을 분석해 비교기준을 마련하고 음성과 데이터 사용량의 조합은 단순, 명료성과 서비스 제공량이 많을수록 요금수준이 높아지는 통합정액제의 요금 구조를 고려해 5가지로 결정했다.
음성과 데이터 사용량이 비례하지 않는 이용패턴과 데이터 평균이용량이 해외보다 높은 국내 통화패턴을 감안, 비교결과의 객관성 및 유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3가지 조합을 추가로 선정했다.
비교대상국가는 11개국으로 최적요금제 비교 방식, 각국의 1위 사업자, 후불요금제를 대상으로 한 요금제 선정 기준 등 기존의 비교시 결정했던 내용은 동일하게 유지했다.
이내찬 협의회 위원장은 “음성․SMS뿐 아니라 무선인터넷에 대한 국내 이용자의 이용패턴을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주요 국가들과 이동통신요금을 비교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며 “올해 6월에 개최될 OECD 정보통신정책분과위원회(CISP)에서 코리아 인덱스 방법론을 공개함으로써 현재 진행되고 있는 OECD의 무선인터넷 국제 요금 비교 방법론 개발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