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선을 이끌 당 지도부 구성을 앞두고 당 대표 선출룰 논의와 계파 간 합종연횡이 활발해지며 당권을 둘러싼 분란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다.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는 29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2:3:3:2’(대의원:책임당원:일반국민:여론조사)의 비율로 선거인단을 구성해 대선 후보를 뽑는 방식을 비판,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촉구하며 '경선 룰' 논란을 재점화했다.
새누리당은 친박(친 박근혜)와 비박(비 박근혜)으로 나뉘어 대선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룰을 두고 격론을 벌이고 있다. 총선 이후 ‘박근혜 대세론’이 공고해지면서 당내 역학구도가 박 위원장에 완전히 기울자 친박계는 줄서기에, 비박계는 생존경쟁에 나서며 양측의 다툼이 경선 룰 논란으로 표출된 것이다.
현재 당내에선 당 대표와 원내대표까지 박 위원장이 직접 거명하는 인물이 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며 기존 경선룰을 지키자는 주장은 박 위원장에 줄을 대거나 눈치를 보는 행보란 시각이 지배적이라 비박계의 공격이 거세다.
특히 박 위원장이 2차례에 걸쳐 “분열은 화를 자초한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친박계 의원들의 분열 진정시키려 했으나, 오히려 “새누리당이 박 위원장의 사당(私黨)이냐”는 비박계 의원들의 공세가 더욱 심화했다.
대선 출마를 선언한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누가 (당 지도부를) 내정을 하는지, 어떻게 결정이 되는지 하는게 논란이 되는 새누리당의 현실이 걱정된다”고 지적했고, 친이(친 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국민을 보고 정치를 하는 것이지 박근혜 비대위원장을 상대로 정치를 하는 게 아니지 않느냐”고 비판했다.
민주통합당도 당 대표, 원내대표 자리를 이해찬 상임고문과 박지원 최고위원이 각각 나눠 분담키로 한 것으로 전해지며 내홍이 심화하고 있다.
이해찬-박지원 측은 대선 승리를 위한 최선의 선택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비주류 측에선 당내 최대 계파인 친노(친 노무현)계와 구(舊) 민주계가 당권을 독식하며 당 지도부 선출의 민주적 절차를 가로막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양대계파의 연합전선 구축이 기정사실화되자 친손(친 손학규)·친정(친 정세균)·486계와 노동·시민사회단체 등 비주류 계파가 뭉쳐 반 이해찬-박지원 연합을 구축할 움직임이다.
이와 관련해 한 친노계 의원은 "당 대표 선출까지는 아직 한달여의 시간이 남아 앞으로 상황이 어떤 식으로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렵다"면서 "이해찬 상임고문 등 주요 인사들이 친노는 물론 타 계파 의원들을 상대로 설득 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통합당 문성근 대표 대행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비대위원장이 한국 정당정치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는 데 같이 협력하기를 희망한다"며 "완전 국민 경선과 모바일 투표 전면도입을 두고 여야 원포인트 대표회담을 갖자"고 제안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