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서울 관악을 야권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발생한 ‘여론조사 조작’ 의혹과 경기동부연합에서 비롯된 색깔논란, 이어진 비례대표 경선 부정 문제 등으로 도덕성에 심각한 타격을 입는 한편 당내 극심한 분란으로 존폐기로에 놓인 것이다.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들은 3일 19대 총선 비례대표 경선 부정 파문과 관련한 후속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대표단회의를 열었다. 하지만 진상조사 결과와 수습 방안을 놓고 서로 인식차만 노출한 채 별 소득없이 회의를 마쳤다.
대응 방안을 두고 당권파는 이정희 대표가 사퇴하는 선에서 사태를 무마하려는 입장인 반면, 비당권파는 선거의 정당성이 무너진 만큼 경선을 통해 선출된 비례대표 후보 전원이 사퇴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경선을 통해 선출된 비례대표는 1번 윤금순 민노당 전 최고위원, 2번 이석기 전 민중의 소리 이사, 3번 김재연 전 한국대학생연합 집행위원장으로, 이들은 당권파 인사로 분류된다.
이들이 사퇴할 경우 비당권파이자 경선에 참여하지 않은 12번 유시민 대표, 14번 서기호 전 판사, 18번 강종헌 한국문제연구소 대표가 당선권에 들어온다. 때문에 당권파로서는 비당권파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2·3번인 이석기·김재연 당선자는 당권파의 핵심 인물이라 쉽사리 물러나기 어려운 입장이며, 비당권파에선 결자해지가 없으면 사태의 수습은 불가능하다며 이들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심상정 대표는 “대표단의 도의적 책임은 당연한 일”이라며 “문제는 그것이 문제를 봉합하는 수준이거나, 쇄신의 의지를 축소하는 것이 되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당권파와 비당권파 간의 갈등 고조로 당이 분해될 수 있다는 '분당론'도 일각에서는 제기하고 있다.
잇따라 터지는 악재로 도덕성 논란과 선거관리 능력부실 등의 문제가 불거지며 국민 신뢰가 추락한 점은 더 문제다. 통합진보당은 4·11 총선에서 13석을 차지하며 원내 제3당으로 올라섰으나, 각종 논란을 빚어내며 공당(公黨)으로서 유권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부정선거와 관련해 검찰 조사가 진행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연대 세력인 민주통합당도 선긋기에 나서고 있어 통합진보당내 혼란은 더욱 가중되는 모습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