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당선인은 이날 아주경제와 인터뷰에서 “새누리당도 야당을 따라 포퓰리즘 정책을 밀고 있다”며 “여당내 야당의 역할을 할지라도 이런 인기영합의 정책은 바로잡을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당선인은 자유무역협정(FTA) 민간대책위원, 정부업무평가위원회 위원, 세제발전심의위원회 부위원장, 공공기관장평가단 단장 등 정부의 주요 정책에 관여해 왔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무책임한 공약 남발 현상을 목격했고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입법문턱에서 제목소리를 낼 작정이다.
그는 경제정책에서 성장노선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경제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해 경제활력을 잃고 있다”며 “70-80년대 고도성장은 못하더라도 일정의 성장의 모멘텀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창했다. 이는 자본주의의 강점인 혁신과 창의력을 통한 발전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그러면서도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이 당선인은 “시장경제에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이를 극복하는 소위 경제민주화를 위한 법령을 만들고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특히 “기업의 투자활동과 투자 독려를 통한 생산성 확보는 강화돼야 한다”면서도 “대기업의 시장독점 문제 등은 반드시 해결하겠다. 대기업 때리기가 아닌 대기업의 투자.생산 및 일자리창출의 사회적 책임 강화 방향으로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이라던지, 지역별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입법활동에 매진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