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출국가의 관점에서 본 노동이주: 현황, 쟁점, 그리고 정책”을 주제로 둔 이번 세미나에서는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3개국에서 이민정책 전문가를 초청하여 이주 노동자 송출국의 현황과 정책에 듣고, 송출국의 관점에서 한국 행 노동이주가 갖는 다양한 의미에 대해서 토론을 하게 된다.
최근 외국인 근로자 유입에 대한 논쟁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이 한국 경제 및 사회에 미치는 영항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들의 출신국의 상황과 정책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또한 효율적인 노동이주 정책 수립에 있어 송출국가와 수용국가간의 상호이해와 협력의 중요성도 국제사회에서 강조되어 왔다.
고용허가제(EPS)의 주요 송출국인 베트남, 인도네시아, 그리고 필리핀 출신 이주 노동자를 중심으로 현황 및 관련 정책에 초점을 둔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이민정책 연구자, 정부 부처 관계자 및 관련기관 담당자, 유관 시민단체 등 전문가들이 모여 송출국의 관점에서 한국 행 노동이주의 영향과 쟁점을 경청하고 토론함으로써 향후 한국과 송출국간 협력적 노동이민 정책 수립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이번 세미나에서 한국으로 파견되는 베트남 이주 노동자의 현황과 베트남 노동이주 정책에 대해 발표하는 베트남 사회과학연구원의 당 뉴엔 안(Dang Nguyen Anh) 박사는 “효과적인 국제이주 관리를 위해서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타국가의 법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개발해야 한다” 라고 강조했다.
또한 “베트남이 2020년까지 산업화, 정치적 안정화, 민주화 등의 목표를 잘 달성하게 된다면, 베트남 역시 아시아 내에서 노동 송출국이 아닌 수용국이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하면서 송출국과 수용국간의 협력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IOM 이민정책연구원 찰스 한스 장은 “한국사회에 다양한 국가출신의 이민자들이 유입되고 있지만 이민자를 배출하는 송출국 관점에서의 전반적인 이민정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부족한 편”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국내 정부 부처 및 관련기관과 송출국가 간의 협력 강화에 기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