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수 교수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국내연구진이 측정한 중성미자(中性微子)의 전자-뮤온 간 변환상수가 11.3%라고 10일 밝혔다.

실험오차는 ±2.3%, 실험신뢰도는 4.9시그마다.

이번 결과는 국내 10여개 대학의 RENO(리노) 연구진이 전남 영광 원자력발전소 인근에 중성미자 검출시설을 순수 국내기술로 완공하고 지난해 8월부터 실험에 착수해 얻었다.

리노연구진은 “이 값이 크다는 것은 전 우주에 물질이 반물질보다 훨씬 많은 이유를 찾는 연구에 청신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성미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기본 입자의 하나로 양성자나 전자보다도 훨씬 작은 소립자로 반중성미자와 섞여 진동한다.

중성미자는 핵붕괴나 핵융합시 방출되는 전기전하가 없는 게 특징이다.

중성미자 간에 서로 진동, 변환되는 비율이 변환상수다.

뮤온과 타우 간 변환상수는 100%, 타우와 전자 간 변환상수는 80%로 밝혀졌지만 전자 중성미자가 뮤온 중성미자로 바뀌는 비율은 15% 이하로 유독 작아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있었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김수봉 교수(사진)를 중심으로 35명의 연구진이 교과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를 추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