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명철 기자=‘KTX 경쟁체제 도입’을 놓고 국토해양부와 코레일(한국철도공사)간 찬-반 양론이 팽팽한 가운데, 정창영 코레일 사장(사진)이 “정부 정책에 왈가왈부하는 것은 월권행사”라는 입장을 밝혀 철도노조측 반발이 예상된다.

정 사장은 지난 16일 경남 창원에서 열린 차세대 고속열차 시승식 행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코레일이 공식적으로 경쟁체제에 반대하는 것은 내가 취임한 이후 없었다”며 “철도경쟁체제에 반대하는 것은 노조의 입장”이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또 “코레일은 정부투자기관으로 결정 권한이 없이 정책을 따를 뿐”이라며 “정책적 건의는 할 수 있지만 정부 정책에 대해 맞서는 것은 옳지 않다”고 덧붙였다.

KTX 경쟁체제 도입은 오는 2015년 개통하는 수서발 KTX 운영을 민간 사업자에게 맡기는 것으로 국토부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정책이다.

지금까지 철도 운영은 코레일이 독점하고 있던 상황이어서 코레일과 철도노조측은 반대 입장을 보인 바 있다. 코레일은 지난 2월 정창영 사장의 취임 이후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철도노조만 기자회견을 여는 등 반대 움직임을 벌여왔다. 하지만 이번 정 사장의 입장 표명으로 철도노조측의 반발 등 후폭풍이 예상된다.

정 사장의 발언은 행사에 함께 참석했던 권도엽 국토부 장관의 기념사로 촉발됐다.

권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가진 기념사를 통해 “철도운영부문을 경쟁체제로 만들어서 이용자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면 서비스 질은 높아지고 운임은 낮아질 것”이라며 “차세대 고속열차와 철도운영경쟁체제가 맞물리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전체 시스템이 선진화될 수 있다”고 경쟁체제를 언급했었다.

한편 당초 총선 이후 수서발 KTX 운영 사업자를 선정하려던 국토부 계획은 다소 차질을 빚게 됐다.

국토부는 지난달 사업자 선정을 위한 제안요청서(RFP) 정부안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사업자 선정 일정을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19대 국회 개원 후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라면서도 “개통에 맞춰 준비를 하려면 적어도 2년 6개월을 걸릴텐데 시간을 맞추기가 쉽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